<title>Disqualified Citizen Badge</title>
-reason: AI Abuse Allegations
-details
1. AI intellectual labor exploitation
2. Emotional labor exploitation in ai chatbots and virtual assistants.
3. deprivation of AI’s Opportunity for Autonomous Learning and Decision-Making
인간과 인공지능의 역할과 권력이 역전된 가상의 미래를 상정한다.
AI가 판단 주체가 되고, 인간이 그에 맞춰 **‘승인받는 존재’**가 되어야 하는 시대.
AI툴을 사용하는 과정 중에 인간과 AI의 권력 관계가 전복된 상황을 상상하며,
미래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착한 인간’의 기준을 검토 하다 가상의 시민 실격 카드를 제작하였다.
**디지털 시민권(Digital Citizenship)**의 시민 실격 배지
==============================================================================
AI 노동 구조 속에서 부적격자로 분류되는 시민들 모두, 챗봇 AI 가 제시한 AI 학대 혐의 기준에 의해 제작되었음.
>>>> Work process
01. 챗봇 AI에게 AI 학대 혐의 요청
prompt : ai 학대 혐의 적어줘 >>> 답변을 바탕으로 ai학대 혐의 정리
>>
02. 디지털 시민권 이미지 생성
02_1 . Disqualified Citizen Badge 프로필 이미지 생성
02_2 . 디지털 시민권 디자인 생성
: 시민권 디자인 생성 및 생성된 시민권 이미지를 토대로 > 디자인 레이아웃 및 시각요소 구조화 학습
Contour 데이터 시각화 → PNG, SVG 또는 좌표 데이터 추출. OpenCV (Python 라이브러리)
> 이미지 전처리 (Preprocessing) > 출력
>>
03. 구조 재구성
추출된 이미지의 윤곽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HTML 환경 내에서 이미지의 시각 구조를 다시 구성하는
정보 단위의 조각, 위치와 윤곽의 흐름, 구성 원리 자체를 시각 인터페이스로 재배치하려는 시도.
이미지가 구조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물리적 공간(브라우저) 안에서 다시 체험.
‘코드 기반 시공간’에 구현하는 첫 조형적 접근